본문 바로가기

영어의 본질

논문 빈출 동사

다른 도메인의 논문들은 모르겠지만

인공지능 분야의 논문들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동사들이 있다.

명사는 영어 본래의 의미를 그대로 익히지 않아도

글을 이해하는데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아니 사실 명사는 그냥 보면 이해될 것이다.

한국어 명사 - 영어 명사 짝을 외우다보면

영어 명사 -> 한국어 명사 -> 의미

가 아니라

영어 명사 -> 의미

가 어렵지 않을 것이다.

문제는 동사와 전치사, 접속사같은

action, relation 계열 단어들이다.

이런 영어 단어들은 필자가 느끼기에

한국어 단어들에 과하게 특정되었다.

문장 맥락에 따라

이 단어가 한국어 무슨 단어였지?

라고 생각하면서 독해를 하는 것은

두뇌 리소스를 많이 소모한다.

 

예를 들어 Propose라는 단어는

한국어 단어 중

제안하다, 청혼하다 등으로 특정된다.

영어 문장을 읽고

문맥을 보고

여기서는 제안하다라고 해석하자.

여기서는 청혼하다라고 해석하자.

라는 식으로 접근하면

머리속이 복잡해진다.

propose의 영어사전 정의에 따르면

to offer or suggest a possible plan or action for other people to consider이다.

간단하게 가능한 계획 또는 행동같은 시간에 따라 진행되는 추상적 대상을

내미는 느낌으로 이해하면 된다.

다음 예문들을 보자.

I propose that we delay our decision until we have more information

내가 결정을 미룬다는 행동(action)을 내민다고 이해할 수 있다.

He proposed to me on my birthday.

한국식으로 번역하면

그가 나의 생일에 나에게 청혼했다.인데

그가 나에게 결혼계획을 암시적으로 내밀었다라고 이해할 수 있다.

LEARNING WHAT TO REMEMBER: LONG-TERM EPISODIC MEMORY NETWORKS FOR LEARNING FROM STREAMING DATA논문을 보면

researchers have proposed neural network architectures that contain external memory module

이라는 문장을 볼 수 있다.

연구자들은 보통 뉴럴네트워크 아키텍쳐들을 논문을 통해 propose하는데

연구자들이 뉴럴 네트워크를 직접 구현을 해봤든 안해봤든

독자에게 이런 아키텍쳐를 구현해보라고

이렇게 이렇게 구현해보라는 계획 또는 행동을

(논문 저자 말대로 구현하는 것은 행동이다.)

내미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필자 주관에 따라 인공지능 논문에

주로 등장한다고 생각되는 동사들은 다음과 같다.

1. Consider

2. Introduce

3. Demonstrate

4. Implement

5. Perform

6. Suppose

7. Present

8. Propose

9. Process

10. Compute

11. Operate

12. Produce

13. Predict

14. Extend

15. Replace

16. Require

17. Correspond

18. Access

19. Note

20. Aim

 

훨씬 많은 동사들이 있지만

영어의 본질적인 의미를 모르면

독해하기 거슬리는 정도가 큰 것 위주로 선택했다.

'영어의 본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roduce  (0) 2023.02.12
Consider  (0) 2023.02.12
영어의 대표동사  (0) 2023.02.12
현재완료와 have to  (0) 2023.02.12
현재분사와 과거분사  (0) 2023.02.11